아동기 발달 특성 중 언어 발달적 특성, 피아제의 인지 발달이론적 특성,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적 특성, 에릭슨의 심리 발달이론적 특성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언어 발달적 특성
언어 발달의 유능성은 주로 아동기에 이루어집니다. 학교를 통한 공식 교육이 이루어지며, 이의 결과로 문자언어, 발표력과 문법력, 독해력의 발달이 진행됩니다. 어휘력이 급속히 발달하면서 어휘의 양도 풍부해지고, 같은 어휘가 발음상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의미를 나타낸다는 점을 이해합니다. 논리적 사고가 가능해지는 시기이기 때문에 아동은 각종 지각 정보를 스스로 논리적인 방식으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2) 피아제의 인지 발달이론적 특성
(1) 인지능력, 운동능력의 발달
아동기 이전에는 감각, 본능에 의하여 지배받고 아동기 이후에는 사춘기에 접어들게 됩니다. 그 사이에 있는 시기가 비로 아동기에 해당됩니다. 이 시기의 특성은 인지능력의 발달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는 시기입니다. 상상력, 추리력, 판단력 등의 지각 능력이 자라고, 운동기능을 활용하는 능력이 크게 자랍니다. 이 시기에 운동을 다양하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2) 구체적 조작기
아동기는 피아제의 인지발달 단계에서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됩니다. 인지적으로 성숙 →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사고와 이해가 변화합니다. 자아 중심성 → 사물을 보는 능력이 발달합니다. 즉 객관성을 갖습니다. 아동기에 자아 중심성에서 벗어나면서 객관성을 갖는 것이 발달합니다.
자기 개념 형성 : 자신 자신에 대해서 생각하는 것. 자신의 특성에 대해 가지고 있는 체계적인 생각을 말합니다. 성장하면서 자기 개념이 확대되고 세밀화되고 복잡해집니다.
실제 행동을 통해서가 아니라 사고 과정을 통해서도 다양한 생각들을 형성합니다. 이러한 사고의 단계를 피아제는 구체적 조작 사고라고 말하며, 이 단계의 아동은 여러 가지 개념적 능력을 획득합니다.
3) 프로이트의 심리성적 발달이론적 특성
-잠복기-
프로이트는 아동기 발달 단계에서의 특징을 잠복기로 설명하였습니다. 이성보다는 동성과의 관계성이 형성되면서 성적 정체성을 찾아가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동성의 부모와 동일시하는 현상도 나타납니다. 또래와의 관계 형성은 사회성 함양에도 영향을 줍니다.
따라서 아동기에는 잠복기로서 이성에 대한 관심보다는 동성과 친한 친구관계 형성을 이루면서 자신의 성 정체감을 확고하게 만듭니다. 사람은 자신의 정체성을 분명하게 인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청소년 시기에 자아 정제 감을 형성하는 것을 발달과업으로 합니다. 이것을 이루기 전에 먼저 자신이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바로 성 정체감입니다. 이 성 정체감을 이루는 시기가 바로 이동기입니다. 성정체감은 정신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입니다.
4) 에릭슨의 심리 발달이론적 특성
-근면성-
이 시기는 근면성을 키우는 매우 중요한 시기입니다. 근면성이란 자신에게 주어진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력하고 그 결과를 얻을 때까지 끝까지 지속적으로 노력해 나가는 모습을 말합니다. 이 시기에는 열심히 무엇인가를 참고 해 내는 것을 키워야 합니다. 이런 의미로 공부나 어떤 것을 참고 견디며 해 내도록 훈련시키는 것이 필요합니다.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기 발달과 정신건강 (0) | 2021.05.24 |
---|---|
아동기 발달과 정신건강 (0) | 2021.05.22 |
남근기의 발달 특성과 정신건강 (0) | 2021.05.21 |
유아기의 발달과업과 정신건강 (0) | 2021.05.20 |
유아기 발달단계의 특성 (0) | 2021.05.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