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 대처 방법 "인지초점 전략"
본문 바로가기
정신건강

스트레스 대처 방법 "인지초점 전략"

by 미소대장 2021. 5. 9.
반응형

[ 인지 초점 전략]

* 상황의 어떤 측면에 주의를 기울이거나 상황에 관해 생각하는 방식을 변화시켜서 어떤 정서들을 북돋우거나 다른 정서를 차단하기 위해 활용됩니다.

 

1) 원리
① 전제
거의 통제할 수 없는 불쾌한 상황을 맞닥뜨렸을 때, 또는 사건은 이미 발생하였고, 그것을 변경시킬 수 있는 방법은 전혀 없을 때 효과적입니다. 상황 또는 환경을 바꾸는 방법이 아닌, 자신의 생각을 바꾸어 상황을 다른 방식으로 생각하는 전략에 해당합니다.

② 방법
• 방법 1: 상황의 한 측면에 주의를 기울이면서 다른 측면을 무시하는 방법
방법 2: 상황의 부정적인 측면에 관심을 기울이지만 딜 스트레스를 주는 방식으로 그 의미를 해석하는 방    법

 

* 좋은 점은 스트레스 상황을 인내 힐 수 있게 해 줍니다.

 


2) 주의집중의 통제

① 방법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대상을 바라보지 않고 생각하지 않으려고 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중성 자극보다는 정서적 자극에 더 깊은 주의를 기울이는 데, 불안 장애를 가진 사람들은 강한 편중성을 보여서 위협적인 자극과 부적 정서 자극에 강하게 주의집중을 합니다. 이 방법은 방어기제의 억제와 유사합니다. 즉 부적 자극을 부정하기보다는 당분간 스트레스를 주는 주제를 생각하지 않기로 결심하는 것을 말합니다. 어느 한 가지 일에서 다른 일로 주의를 돌리는 것이 훨씬 쉬운 방법에 속합니다.


② 문제점
주의집중 통제법은 많은 인지적 에너지를 요구합니다. 결과적으로 사람들이 피로해지거나 오랫동안 자신의 생각을 통제하게 되면 주의집중을 통제하는 능력이 소진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미 활성화된 생각과 자극에 주의 집중하는 것을 억제하기란 정말 어려운 형태의 인지적 통제입니다. 예를 들면 곰에 대해 5분 동안 생각하지 않기로 했을 때 오히려 곰을 더 많이 생각하게 되는 것입니다.

 

3) 인지적 재평가

①  방법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대상(상황)에 대해 기존과는 다른 새로운 해석을 해 보는 것입니다. 사건이나 자극에 대해 갖고 있던 정서적 반응을 변화시켜 주는 방식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상황에 대한 우리의 평가를 바꿈으로 정서 반응의 변화를 도모하는 것입니다. 


재평가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은 척하거나 혹은 사태가 어떻게 전개될지에 관해 비현실적인 이야기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이지만 긍정적인(최소한 중립적인) 상황 해석에 집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인지치료적 접근에서는 생각하는 방식을 바꾸는 것을 '인지적 재구조화'라고 하는데 이는 우울장애나 불안장애와 같은 정신장애 치료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목표입니다. 예를 들어보면 사고를 당했을 때 최악의 사고는 아니었다고 스스로 위안을 삼는 것이 있습니다.

 

* 이 방법은 많은 연구가들이 인지적 재평가 방식이 정서 조절 전략으로서 효과적이면서도 건전한 방식이라고 제안합니다. 인지적 재평가를 활용하는 사람은 특성적인 정적 정서가 더 높고 부적 정서가 더 작았으며, 인생 만족도가 높고, 타인과의 정서 공유가 더 많았으며, 동료들이 평가한 호감도가 높고, 더 친밀한 관계를 형성하였으며 우울증에 걸릴 위험성도 더 낮았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