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 생활 개념의 등장 배경>
• 오늘날 장애인과 자립생활에 대한 이슈에서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대상이 바로 발달장애 영역입니다.
- 발달장애의 특성으로 인한 인지적, 행동적 요인들이 원만한 의사소통이나 교류, 사회활동 및 참여의 제한으로 이어지는 상황에서 자립생활은 더욱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는 관심이 다수입니다.
- 과거부터 이렇게 각인된 발달장애인의 모습은 다른 장애 영역들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더 문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으며, 그만큼 장애 영역들 중에서도 더욱 소외됨으로써 적합한 복지적 지원과 지역사회생활에 대한 권리를 보장받지 못해 온 경향이 있습니다.
• 거주시설 지적장애인은 전체 장애인의 44.9%에 이른다고 보고된 바 있는데 이를 절대적으로 볼 수는 없지만 애초에 나고 자란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성장하지 못하게 했던 사회구조의 문제는 분명 제고할 필요기 있습니다.
- 동시에 탈시설화 관점에서 발달장애를 가진 사람들의 지역사회 거주와 그들의 특성과 욕구에 기반한 자립생활을 실현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 모색은 더욱 절실히 요구됩니다.
• 발달장애인은 다른 장애 유형에 비해 자립 이후에도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합니다.
- 서구에서는 이미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지원 생활 모델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데, 이는 발달장애인이 거주시설 등이 아닌 자신의 집에서 스스로의 욕구와 필요에 맞는 지원을 믿으며 자립생활을 하도록 지원하는 것을 말합니다.
- 이 모델은 탈시설화와 지역사회기반 생활의 발전과정에서 그들의 선택권을 보다 더 보장할 수 있는 지원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이를 통해 발달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하고자 하는 추세에서 개념적 모델로 등정하게 됩니다.
'장애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 실태조사 (0) | 2022.03.18 |
---|---|
발달장애인의 자립을 위한 지원생활의 개념과 모델화 (0) | 2022.03.17 |
자립생활지원서비스 (0) | 2022.03.13 |
자립생활지원서비스 (0) | 2022.03.09 |
장애인 소비자주의와 당사자주의 (0) | 2022.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