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 카테고리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정신건강59

적대적 반항장애의 진단기준과 원인 및 치료 적대적 반항장애의 진단기준과 원인 및 치료에 대해 살펴봅시다. 1) 진단적 기준(DSM-5) 아래 내용 중 4개 이상이 나타나면 진단을 고려해야 합니다. (1) 화내고 짜증스러운 정서가 나타남 • 이성을 잃고 성질을 부림 • 과민하고 쉽게 화를 냄 • 화내고 억울해함 (2) 논쟁적이고 반항적인 행동이 나타남 • 타인과 논쟁 • 어른의 요구나 규칙에 순응하기를 적극적으로 거부함 • 의도적으로 다른 사람을 화나게 함 • 자신의 실수나 잘못에 대해 다른 사람을 비난 (3) 원한 • 지난 6개월 동안 적어도 두 번 이상 앙심이나 원한을 품음 • 위의 증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됨 • 학교나 가정에서 문제가 발생 • 품행 장애의 기준에 맞지 않아야 함 2) 임상적 특징 • 핵심증상 : 분노와 짜증, 논쟁적이고 반항적.. 2021. 6. 14.
해리성 정체감 장애 원인과 치료 해리성 정체감 장애의 원인과 치료에 대해 살펴봅시다. 과거에는 해리성 인격장애 혹은 다중성 인격장애라 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장애를 가진 사람을 만나기는 어렵습니다. (1) 진단적 기준 • 한 사람이 두 개 이상의 다른 인격 상태를 특징으로 하는 정체감의 분열 • 일반적으로 5개 내 외의 다른 인격체가 존재하고, 드물게는 10개 이상의 다른 인격체가 존재할 수 있음 • 예를 들어 노인으로 살다 또는 어린아이로 살다가 성인으로 살다 이런 식으로 다양한 인격으로 사는 것 • 자기 정체감의 비연속성: 두 개 이상의 다른 인격체가 존재하면서 인격체의 교체가 이루어짐 • 정서, 행동, 기억, 지각, 인지와 감각운동기능의 변화: 서로 다른 인격체는 다른 행동, 기억, 정서 표현양식을 가지고 있기 에 인격체의 교.. 2021. 6. 12.
해리장애의 개념과 기억상실증 해리장애의 개념과 기억상실증에 대해 살펴봅시다. 1) 해리의 개념 (1) 자신이나 주변 환경, 그리고 시간에 대하여 그 의식이 단절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2) 종교적 체험, 최면상태, 마비, 기억상실, 이인증 등이 해리 경험 중 하나입니다. · 단 해리장애와 구분해야 합니다. · 해리 현상은 의식이나 지각, 기억, 그리고 정체감의 문제와 관련 있습니다. · 최면상태: 의식의 변화 · 마비, 이인증 지각의 문제 ※ 이인증: 자신이 다른 사람처럼 느껴지거나, 자신과 분리되는 느낌을 경험하는 것으로 자기 지각에 이상이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 · 기억상실: 기억의 문제 (3) 해리는 충격적 사건에 대한 자기 보호 기능입니다. (4) 해리 현상은 일반적으로 사람에게 나타납니다. 일시적인 해리 증상은 일반적인 .. 2021. 6. 1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개념과 유형, 증상과 치료방법에 대해 살펴봅시다. 1) 외상 사건과 외상의 개념 · 외상사건(traumatic event)이란 심각한 신체적 손상 혹은 생명의 위협을 주는 매우 충격적이고 위협적인 사건으로서 심한 심리적 고통을 주는 사건, 직·간접으로 경험, 극심한 공포, 무력감, 고통을 경험한 사건을 의미합니다. · 외상(trauma)이란 충격적인 사건에 의해 입은 심리적 상처를 의미합니다. 2) 외상 유형 (1) 자연재해 지진, 신사태, 해일, 화산 폭발 등 (2) 기술적 재해: 건물 붕괴, 비행기 추락, 화학물질 유출, 교통사고 등 (3) 폭력 범죄 : 강간, 살인, 폭행, 납치, 유괴 등(예: 화성 연쇄 살인사건) (4) 관계 상실: 배우자, 가족의 사망 3) 임상적 증상.. 2021. 6.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