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노인 정의
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복지

장애노인 정의

by 미소대장 2022. 7. 13.
반응형

(1) 개요
• 장애노인은 장애와 고령을 동시에 경험하므로 복지정책의 관심이 더욱 요구됨
- 이용 자격의 기준, 노인과 장애인 복지의 단절적 전달체계, 서비스 제공기관의 분절, 서비스 유형의 단순화 등 현실은 노인복지와 장애인복지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이는 경우 많음


• 등록장애인 중 만 65세 이상 장애인의 비율은 꾸준히 증가 추세에 있음
- 2005년 32.5%, 2008년 36.1%, 2011년 38.8%, 2014년 43.3%, 2017년 46.6% 수준까지 증가 추세에 있는 것으로 나타남

 

반응형


(2) 개념 및 기준
① '장애노인'은 장애를 가진 노인을 의미하며, 장애와 노화를 이중으로 경험하는 인구를 의미함
• 국내 문헌에서는 장애노인에 대한 용어 정의에 있어 '고령 장애인', '노령 장애인', '장애노인', '장애어르신' 혹은 '노인성 장애인' 등으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장애노인의 대상 구분에 있어서도 다양한 연령기준을 사용하고 있음


② 고령화된 장애인 (Aging with disability)와 노화과정 장애인(노화에 따른 장애인, Disability with aging)
• 고령화된 장애인(Aging with disability) : 장애 기간이 20년 이상이면서 발 달기에 장애가 발생한 집단(청·장년기 장애 발생 인구로 확대하여 정의 가능)
• 노화과정 장애인(노화에 따른 장애인, Disability with aging) : 장애 기간이 20년 미만이면서 고령기 (65세 이상)에 장애가 발생한 집단


③ 장애노인에 대한 연령기준은 사회적인 합의의 문제이므로 다양한 적용이 가능함
• 「노인복지법」은 연령상으로 65세를 기준으로 노인을 정의하고 있으며, 60세를 기준으로 정의한 연구도 일부 존재함
발달장애인의 경우 비장애인에 비해 15~20년 노화를 빠르게 경험하는 조기 노화(premature aging)를 경험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고령화된 장애노인의 경우 조기 노화와 함께 기본 장애에 더하여 이차적 장애 (secondary condition)를 경험한다는 보고도 있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