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급진주의에서는 자유주의와는 달리, 남성과 여성 사이에 생물학적인 차이 - 여성의 임신과 출산-가 존재하며, 제도화된 가부장제 (patriarchy)가 모든 성 불평등의 원천이라고 규정함
• 급진주의에 따르면, 모든 남성은 성 억압으로 인한 혜택을 누리고 있고, 모든 제도와 언어, 문화, 전통은 가부장제를 강화하고 있음
• 급진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의 사랑, 보호, 영적인 특성은 보다 자연에 근접한 가치 있는 특성으로서 인식되어야 하며, 전통적 남성, 여성의 구분을 초월하는 양성적(androgynous) 가치와 태도가 모든 제도 과정에서 존중되어야 함을 주장함
문제 규정 | 개인의 문제와 가부장제에 기반한 억압적 사회관계와의 관계를 규정: 전통적 성 역할과 권위주의적, 위계적 (가부장적)관계를 증진하는 사회 제도적 상황을 규정: 가부장적/성 역할 사회화의 결과인 개인의 특성을 검토 |
사정 | 일차, 이차 관계에서 가부장제의 특성이 나타나는 정도를 사정 가부장적, 제도적 과정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정 가부장적 성역할이 개인 발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정 |
치료 전략 | 여성과 남성 대상의 의식고양(억압받는 자와 억압하는 자의 심리를 제거) : 여성을 위한 지지와 자조집단: 일부 전통적인 형태의 치료 (여성에 대한 여성의 원조를 강조) : 정서적, 지적 반응을 추구하는 건설적 출구 와 여성 논제와 관련한 여성의 정치화와 동원을 통한 의식 고양과 치료의 적용 |
치료 목표 | 개인의 문제는 가부장제에 기반 한다는 개인적, 집합적 인식의 창조 (개인적인 것은 정치적): 성 역할을 초월하는 성격을 창조하게 위해 남성과 야성 성격의 특성을 통합 가부장제의 특성을 나타내는 일차, 이차관계의 변화를 증진: 사회체계의 변화를 가져오기 위해 여성을 동원하고 정치화(가부장제 제거) : 가부장적 성 역할 사회화로부터 발생하는 차단을 제거: 여성을 위한 대안적 지역사회를 조성 자매관계(sisterhood)를 증진 |
• 개인의 문제는 가부장제가 개인에게 미치는 억압적 사회관계에서 비롯된다는 가정에 따라 전통적 성 역할에 대해 사정하거나 가부장적 과정이 개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사정함
• 권위주의적이고 위계적인 관계를 증진하는 사회제도적 상황을 규정함
• 사회복지사는 가부장제의 영향을 인식하기 위한 여성과 남성의 의식향상(consciousness raising), 여성의 지지집단과 자조집단의 조직, 사회체계의 변화를 위한 여성의 정치 세력화, 여성을 위한 대안적 지역사회의 조성 등을 강조함
반응형
'여성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주의적 실천의 필요성 (1) | 2024.02.05 |
---|---|
사회주의 모델에 따른 여성주의적 실천 (1) | 2024.02.01 |
자유주의 모델에 따른 여성주의적 실천 (1) | 2024.01.27 |
여성주의적 사회복지실천의 개념 (0) | 2024.01.26 |
2000년대 여성운동과 여성복지 (2) | 2024.0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