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성주의 분석들
• Hartsock(1979) : 여성주의는 분석의 한 틀로서 삶과 정치학이 접근하는 방법이자 질문하는 방식이어서 여성주의 분석을 이해하는 것은 여성복지의 패러다임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데 유용한 근거가 됨
• 여성주의는 역사적인 발달에 따라 자유주의, 마르크스주의, 급진주의, 사회주의, 포스터 모던, 에코/경험론, 입장론(standpoint), 해체(deconstruction)/권력이론 등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음
•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이 대한 차별이나 억압적인 요소에 대해 문제를 제기함으로써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자 한다는 점에서 동일하다고 볼 수 있으나 이슈에 대한 주요관심과 관점, 질문하는 방식과 답을 찾아나가는 방식, 해결과 개입 방법론에 따라 다른강조점을 가지고 있고, 따라서 여성주의 안에는 수많은 차이들이 존재함
2) 여성주의 이론
• 자유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에 대한 차별이 교육과 같은 기회의 차별에서 온다고 보고 균등한 기회와 법적 제도적 평등을 주장
• 급진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의 억압이 가부장제와 남성중심의 신념체계에 기인한 것으로 보고 가부장제적인 문화와 제도를 없애는 것을 주요 의제로 삼고 그 동안 가부장제 안에서 평가 절하된 '여성적 가치'에 대해 재해석하고자 노력함
• 사회주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의 억압이 자본주의와 가부장제를 비롯한 연령과 인종과 같은 모든 영역에서의 차별에 기인한다고 보고 사회구조적인 차별과 억압 기제들을 철폐하고자 노력함
• 포스트모던 여성주의자들은 여성들 내부의 차이에 주목함
3) 여성주의의 발달과정
• 한국에서의 여성주의 논의는 순차적으로 발달되어 왔다기보다는 여러 입장이 공존하는 양상을 띠어옴
• 1980년대 민주화 과정을 거치면서 여성노동자들에 대한 이슈가 부각되었고 그 과정에서 마르크스주의, 급진주의, 사회주의에 기초한 여성주의 담론이 형성됨
• 1990년대 이후 섹슈얼리티 담론이 확장되었고 포스트모던 논의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다양한 여성주의 실천이 시도됨
• 또 하나의 문화 : 1984년 동인 모임에서 1999년 사단법인화 하는 과정을 통해 다양한 여성주의 담론을 형성함
• 여성주의자들에 의해 현재 마포 성미산 공동체 마을의 기틀이 된 공동육아 모임이 1994년에 시작되었고, 공동육아는 1990년대 서울과 지방 여러 곳에서 실천이 됨
• 1997년 여성주의 잡지를 표방하며 창간했던 '이프 (if)'가 있음
• 1997년 설립된 '여성주의 이론연구소' 역시 여성주의 이론을 연구하고 담론을 생산하는 장으로 자리매김하였음
'여성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복지와 여성주의의 결합 (0) | 2023.07.07 |
---|---|
여성주의 이론의 서로 다른 관점 (0) | 2023.07.05 |
여성복지의 필요성 (0) | 2023.06.25 |
여성복지의 개념 (0) | 2023.05.01 |
성과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여러 가지 의미 (0) | 2023.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