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an Den Berge가 1995년에 출간한 「Feminist Social Work Practice in the 21st Century』라는 책에서 '여성주의 생애접근법'이 공식적으로 처음 거론됨
• 여성주의 생애접근법은 여성들의 노화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가 무엇인지 를 밝히는 적절한 방법일 수 있음
• 여성들이 생애에 걸쳐서 경험하는 성차별 및 연령차별, 그 외 여러 가지 차별 때문에 받게 되는 고용차별, 사회보장 및 연금제도상의 편견에 대하여 주목하게 해 줌
1) 성불평등 및 억압
• 여성주의 생애접근법은 전 생애를 통하여 여성에 대한 불평등 및 억압이 편재한다는 입장에서 출발함
• 여성의 불평등은 개인 차원이 아니라 사회구조적 · 정치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여성의 지위가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성차 때문이 아니라 성불평등에 기인함
• 집단별로 보더라도 연령에 관계없이 여성들은 남성들보다 가난하며, 공적인 영역에 있더라도 성별분업인 일에 종사함
여성들이 공사 영역을 불문하고 어디에 있든 그들의 힘이 미치는 범위가 제한적임
2) 연령차별주의(Ageism)
• 전 생애과정에 걸쳐서 여성들이 받는 불평등은 대체로 성차별에 의한 것이지만 점차 연령이 높아질수록 나이에 따른 차별이 더해짐
• 연령차별주의는 개인적인 차원뿐만 아니라 정책 및 공적 영역에서도 나타남
• 공적영역 : 이혼, 법률, 연령차별
• 개인 영역 : 건강, 신체적 외모 등이 여성노인을 차별하는 복합적 요인
3) 다원적 요인
• 인간의 생애는 개인적인 일대기로만 설명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그가 생활한 사회문화적 · 정치적인 세력과 수조에 의해서도 결정이 됨
• 인간의 삶은 진공 속에서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노화과정이나 노인의 삶의 질 또한 사회구조 및 정치 · 역사적으로 다양한 세력의 영향을 받음
• 인간의 사회적 위치는 본인의 의지와 무관하게 그가 태어나면서 속한 사회적 계층으로 우선 정해짐
• 사회계층에 따라서 삶에서 유리한 입장이 될 수도 있고, 불리한 조건에 처할 수도 있으며, 그것은 자연히 노화경험에도 영향을 미침
4) 정치 구조적 변화
• 여성주의자들은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라고 생각하고 사회변화를 강조함
• 가부정주의 및 자본주의는 여성의 삶에 영향을 미쳐서 공 · 사적인 부문에서 영성들에게 매우 제한된 부분만을 허용함
• 국가정책의 많은 부분에서 제한된 성역할 및 평가절하된 지위가 여성의 속성인 것처럼 시행되고 있음
• 여성의 삶을 지배하는 세력에 도전하여 여성의 가치를 찾기 위해서는 정치·사회구조적인 변화를 요구해야 함
• 여성주의 이론가들은 여성문제를 개인 차원에서 해결할 수 없다는 전제하에 여성노인과 관련하여 보건, 돌봄, 노후생활, 직업분야에 근본적인 정책모형이 개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5) 능력 부여
• 생애접근법은 능력 부여 또는 세력에 대하여 새로운 개념화를 시도함
• 여성 스스로 희생자라는 관점에서 벗어나서 여성에게 능력을 부여하고 신뢰성을 바탕으로 그 세력을 인정하는 것임
• 능력부여가 자신감으로 연계될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는데, 그중에서 여성노인들이 개인적 또는 집단적으로 정치적 행동을 하게 될 때 모든 지배형태에 저항하는 구체적인 방법으로 현실화될 수 있음
6) 연대성
• 생애접근법은 여성의 생애에 기초한 것으로 여성노인에 대한 전환적 관점을 추구함
• 여성들의 삶에는 서로 다른 점이 있음에도 불고하고 간과할 수 없는 공통점이 있는데, 그것이 바로 생활의 일상성임
• 여성의 보편성에 근거한 연대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때때로 사안에 따라 협력관계를 구축하는 형태로 발전하는 것이어야 함
'여성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소년기와 청년기 (0) | 2023.08.15 |
---|---|
생애주기에 기초한 여성복지 쟁점 고찰과 유아기와 아동기 (0) | 2023.08.13 |
기존의 패러다임 변화의 중요성 (0) | 2023.08.01 |
여성주의 시각에 기초한 여성복지 실천의 내용 (0) | 2023.07.08 |
사회복지와 여성주의의 결합 (0) | 2023.07.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