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분열병의 다양한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약물치료
① 정신분열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지속적인 약물치료가 필요
② 뇌 속의 신경전달물질 체계의 균형을 되찾기 위한 목적
③ 활성화된 중심의 조절을 위해 집중적인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을 완화시키는 것
④ 정신분열병을 치료하기 위한 항정신병 약물(anti-psychotics)은 정신병적 증상에 대한 치료적인 작용뿐만 아니라, 신체적, 심리적 부작용을 동반하게 됨
⑤ 부작용
• 진정성 항정신병 약물 부작용 : 운동조절 장애, 혈압 저하, 입 마름, 식욕저하, 구토, 변비 등
• 항 결핍성 항정신병 약물 부작용 : 고혈압, 다뇨증, 구강건조증, 식욕저하, 변비 등
• 항생 산성 항정신병 약물 부작용 : 근육의 긴장, 좌불안석 감과 같은 추체외로 부작용 (EPS; Extrapyramidal Side Effects)
(2) 정신역동적 상담
① 정신역동적 상담 : Freud를 중심으로 정신분석이론 기초
② 심리적인 역동과 방어기제 무의식의 탐구 등을 통해 문제나 증상을 파악
③ 상담자와의 일대일 관계 속에서 치료적 접근
④ 상담과정에서 자아와 방어기제 등을 탐색
⑤ 자유 연상, 꿈의 해석, 전이, 저항 등의 기법들이 사용
⑥ 정신분열병의 경우 무의식적인 문제에 직면시켜 분석과 통찰을 얻도록 하는 통찰적 심리상담보다는 상담자와의 관계에서 지지적 심리상담이 주로 사용 → 이를 위해 상담자와 내담자는 의미 있는 관계를 형성하고 이러한 관계 속에서 갈등과 불안을 방어하는 자아의 방어 기능을 강화하고 도움. 또한 상담자와의 건강한 관계 속에서 진정한 대상관계의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도움
(3) 인지행동적 접근
① 인지행동적 접근이란 사고, 감정, 행동은 상호작용하여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에 기초
② 인지적인 접근과 행동적인 접근을 동시에 시도
③ Ellis의 합리적 정서치료(rational emotive therapy)
예를 들면, 개인이 어려움을 갖게 되는 선행 사전 (A; Activating Event)이 발생하면 비합리적 신념 (irrational beliels)이 작용하여 부정적이고 치명적인 해석을 하게 되고 결국, 이로 인해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는 감정상태와 행동을 보이게 된
다는 것
④ 인지행동적 접근에서는 비합리적 신념에 대한 논박 기법, 인지적 과제 부여 기법, 새로운 자기 진술 문의 사용 기법, 역할극, 시범 보이기, 유머 등 다양한 인지적, 행동적 기법을 적용하여 합리적인 신념과 행동을 유도함
(4) 사회기술훈련
사회기술훈련의 넓은 의미로는 정신분열병을 가진 사람이 사회생활이나 대인관계에서 필요한 모든 기술을 훈련하는 것이고, 좁은 의미로는 대인관계에서의 의사소통 기술을 훈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① 사회적 지각(social perception) 또는 수용기술(receptive skills)
② 인지 기술(cognitive skills), 문제 해결 기술, 처리기술
③ 행동적 기술(behavioral skills) 또는 표현 기술(expressive skills or sending skills)
④ 대화기술, 문제 해결 기술, 위생관리기술, 대인관계 기술, 약물 및 증상 자기 관리 기술, 사교 기술, 자기주장 기술, 금전관리 기술, 스트레스 관리 기술, 직업유지 기술, 일상생활 기술 등을 들 수 있습니다.
(5) 사례관리
사례관리는 개개인의 잠재력과 가족 및 일차 집단의 보호능력을 극대화하고 공식적인 보호체계와 일차적인 보호자원을 통합하며, 공식적 보호 체계 내 능력을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례관리는 일련의 과정으로 이루어지는데 사정 단계에서 강점과 장애물에 대한 사정이 반드시 포함되며, 자원 연결 후 조정과 점검의 과정이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례관리는 intake, 사정(개인 및 가족 사정, 자원과 장애물 사정), 계획, 개입, 조정, 종결 및 사후관리 등의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6) 가족치료와 가족교육
① 가족치료
가족 성원 간의 역기능적 의사소통 문제와 부부 문제 등을 다룹니다. 치료자는 정신분열병을 가진 사람과 그를 포함한 가족체계 안에서 가족의 다양한 문제의 원인을 찾고 가족치료 이론과 기법을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합니다.
② 가족교육
가족을 대상으로 하여 질환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고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심리적인 죄책감을 감소시키는 것은 물론, 병에 대한 태도를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③ 가족모임
개별적인 교육을 넘어서 가족 스스로 지지하는 모임을 만들어 정보교환과 심리적인 지지를 도모하고 가족 간의 협력체계를 형성하는 등의 형태로 발전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이러한 가족치료 접근과 가족교육을 통하여 재발을 줄이고, 가족관계를 증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7) 지역사회 개입
① 지역사회정신보건의 이념과 목적을 가지고 수행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행해지는 모든 정신보건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지역사회 개입을 통하여 예방, 치료, 재활에 이르는 포괄적 개념의 정신보건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② 직업재활 서비스
고용주 모임 관리, 취업 가능 직종 직무분석, 직업 적성 검사, 취업 홍보, 취업장 배치, 직업 사정, 취업교육 및 연구, 취업 회원 모임 관리, 취업 후 상담 및 사후지도, 직업적응훈련, 취업장 개발 및 취업 의뢰, 직업 상담, 직업 준비 등 직업재활 서비스의 형태로는 보호작업장(sheltered workshop), 지원고용(supported employment), 임시 취업(transitional employment), 독립 취업(independent employment)
③ 주거서비스
중간집(halfway house), 그룹홈(group home), 지지 주거 (supportive housing) 시설, 독립주거(independent housing) 시설 등 다양한 주거시설이 갖추어져야 합니다.
④ 정신분열병을 가진 사람에 대한 평생계획 (permanency planning)
일차적 보호자가 더 이상 보호를 제공할 수 없을 때를 대비하여, 지속적인 보호계획을 해나가는 과정입니다. 이를 위해 평생계획은 재정, 법률, 교육, 직업 등 다양한 측면을 고려한 지속적이고 포괄적인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극성 장애의 원인과 치료 (0) | 2021.06.02 |
---|---|
양극성 장애 (0) | 2021.06.02 |
정신분열병의 원인 (0) | 2021.06.01 |
정신분열병의 유형과 유병률 (0) | 2021.05.31 |
조현병의 진단기준 (0) | 2021.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