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개념의 변천 "ICF"
본문 바로가기
장애인복지

장애 개념의 변천 "ICF"

by 미소대장 2021. 6. 18.
반응형

장애 개념의 변천 중 "ICF"에 대해 알아봅시다.


세계 보건기구에서는 2001년에 ICIDH-2에서 제시된 내용을 계승하면서 분류체계와 언어 사용을 보다 긍정적이고 환경 지향적인 맥락에서 수정한 ICF(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Functioning. Disability, and Health)를 발표하여 세계적으로 통용될 수 있도록 승인했습니다. 
ICF는 크게 두 영역으로 나뉘는데, 첫 번째 영역은 기능과 장애이며, 두 번째 영역은 상황 요인입니다.

구 분 영역 1: 기능과 장애 영역 2: 상황적 요인
구성요소 신제기능 및 구조 활동과 침여 환경적 요소 개별적 요소
영역 신체기능
신체구조
생활영역
(과업, 행동 등)
기능과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영향력
기능과 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영향력
구성개념 신체기능 변화
(생리학)
신체구조의 변화
(해부학)
표준환경에서의 
과제수행 능력
현재 환경에서의
과제수행 정도
물리적·사회적 인
식적 측면에서
촉진 또는
방해하는 힘

개별 특성에 의한
영향


• ICF 모델에 의하면 개인의 기능은 신체의 기능과 구조, 활동, 참여 등으로 표현됩니다. 이러한 세 가지 차원의 기능들은 건강 조건과 상황적 맥락에 속하는 환경적 요소(사회적 인식 등)와 개인적 요소(성, 연령, 인종 등)의 양 측면에서 영향을 받습니다. 그리고 한 개인의 기능과 장애는 질병과 같은 건강 요인과 환경 요인 간의 복합적인 상호관계로 인식됩니다.


• 장애 개념은 개인적인 손상이나 기능상의 제한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장애와 사회환경 사이의 부적절한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나는 본질적인 기능 및 활동상의 제한까지 포함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장애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국의 장애범주  (0) 2021.06.22
우리나라의 장애범주  (0) 2021.06.21
장애개념의 변천 "ICIDH-2"  (0) 2021.06.17
장애 개념의 변천 "ICIDH"  (0) 2021.06.16
장애의 의료적 모델과 사회적 모델  (0) 2021.06.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