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례관리 개념
• 앤서니와 그의 동료들(Anthony et al., 1988)은 사례관리를 체계의 목표에 의해서가 아닌 클라이언트의 목표에 의해서 작동해야 하며, 사례관리 기술은 이들이 필요로 하고 원하는 서비스를 지원해 주는 과정으로 정의함
• 목슬리(Moxley)는 "복합적 욕구를 지닌 사람들의 기능 함양과 복지를 위한 공식적 비공식적 자원과 활동의 망을 구축하고 조정 및 유지하는 것”으로 정의함
• 한국사회복지협의회에서는 사례관리를 복합적인 원인으로 요보호의 상태에 있는 클라이언트에게 다양한 지역사회 자원을 연결시켜 관리하는 원조 대책으로서 정신장애인, 질병으로 누워 있는 노인, 치매성 노인 등이 가지고 있는 여러 가지 욕구를 조기에 적절하게 대응하는 지역 보호체계"로 정의함
(2) 사례관리 목적
사례관리란 복합적인 욕구를 가진 사람들의 기능 강화와 복지를 위한 공식적, 비공식적 활동의 네트워크를 조직, 조정, 유지하는 것으로써 이러한 활동을 통해 사례관리자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함
① 서비스와 자원들을 이용하고 접근할 때 가능한 클라이언트 자신의 생활기술을 증진시킨다.
② 클라이언트의 복지와 기능화를 향상하기 위해 사회적 망과 관련된 대인 복지 서비스 제공자들의 능력을 발전시킨다.
③ 가능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 전달되는 서비스 및 자원을 전달하며, 서비스의 효과성을 향상한다.
(3) 사례관리 구성요소
① 사례관리를 필요로 하는 클라이언트
• 클라이언트는 대부분 복합적인 욕구를 가지고 있어 하나 이상의 사회자원을 필요로 하지만, 자원의 소재와 이용방법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을 말함
• 지역의 장애인 가족의 신체적·정신적·경제적·사회적 문제 등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다양한 클라이언트들이 대상이 됨
②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충족하는 사회자원
• 인적·물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지원하는 다양한 차원의 행정가, 행정기관, 공공복지 시설, 법인 등 공식적인 부분이 있음
• 클라이언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회적 자원을 동원하는 것이 필요함
③ 클라이언트와 자원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사례관리자
• 사례관리의 가장 중요한 구성요소로 클라이언트와 자원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연계하는 역할을 수행함
• 여러 가지 서비스 공급주체에 의한 사회자원을 클라이언트가 활용하여 욕구를 충족해 갈 수 있도록 촉진하고, 조정하고, 연결시켜 나감으로써 클라이언트 자신의 능력을 향상하고 서비스 공급주체들의 능력 또한 발전하는 것이 사례관리자의 역할임
(4) 사례관리 실천과정
사례관리 실천과정은 일반적으로 초기면접과 접수-사정-개입 기획 및 계획-실행과 조정 - 점검과 평가 등의 5단계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음
① 초기면접과 접수
사례관리 초기 과정으로서 클라이언트의 내담 또는 아웃리치, 의뢰 등을 통해 서비스 이용 대상자를 인식하고 서비스 이용의 적격성을 심사하여 등록하는 단계
② 사정
클라이언트의 문제와 관련된 욕구를 파악함과 동시에 개인 측면에서의 현 기능과 잠재성, 클라이언트 환경에서의 공적 내지 비공식적 보호체계의 기능 등에 관련된 자료와 정보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총 체화하는 과정으로서 가장 적합한 서비스 선정을 위한 준비단계
③ 개입 기획 및 계획
사정을 통해 분석된 자료를 바탕으로 서비스 이용 대상자의 욕구 해결을 위한 장단기 목표를 설정하고, 서비스 제공을 통한 구체적 보호계획을 결정하여 수립하는 단계
④ 실행과 조정
서비스 이용자에 대한 실질적 개입 과정으로서 당사자에게 합당한 서비스들을 제공 및 연계하고 서비스들 간 개입의 수준과 정도 등을 협의하여 조정해 나가는 단계
⑤ 점검과 평가
• 우선 첫 번째 단계로 서비스 이용자의 욕구 해결을 위해 투입된 서비스와 이 과정에 관여한 서비스 제공자, 가족 등 지원체계들의 수행을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감독하는 기능을 수행함
• 두 번째 단계로는 이 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이용 당사자의 권익을 옹호하고 대변하여 서비스 이용과 욕구 해결에 충분한 지지를 제공해야 하는 기능을 수행함
• 마지막 단계에는 이용 당사자에게 제공되었던 서비스의 효과 및 효율성뿐만 아니라, 서비스 계획과 진행되었던 각종 서비스 활동, 이를 지원한 서비스 체계 및 구조 등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통해 서비스 제공의 책임성과 지속적 발전 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함
• 이 과정에서는 표준화된 측정도구의 개발과 활용으로 객관성이 확보되어야 함
'장애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복지관 사례관리 실제(용어) (0) | 2022.06.24 |
---|---|
장애인복지와 사례관리 절차 (0) | 2022.06.22 |
장애인복지와 사례관리 (0) | 2022.06.21 |
장애인복지시설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0) | 2022.06.20 |
장애인거주시설 평가기준 (0) | 2022.06.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