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 여성장애인은 일차적으로 장애인이며, 동시에 여성임
- 장애인으로서 겪는 어려움뿐만 아니라, 여성에게 가해지는 억압과 차별도 경험함
• 여성장애인 당사자들은 한 사람의 독립된 인격체로서 존중받고, 당당한 시민으로 살아가기 어려운 경우들이 있는데, 그 이유는 여전히 많은 여성장애인들은 정치, 경제, 사회, 문화를 포함한 여러 영역에서 소외되고 있기 때문임
• 여성장애인이란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지니면서 사회적 장애를 경험한 여성을 지칭하고 손상의 심각성이나 문화적 배경, 생활공간에 상관없이 모든 연령대의 여성이 포함됨
2) 현황
(1) 개요
• 우리나라 여성장애인은 전체 장애인 2,580,340명 중 1,104,386명(42.8%)으로 나타났고 남성 장애인은 1,475,954명(57.2%)으로 나타남
• 여성장애인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4년에는 41.9%였으며, 2017년에는 42.8%로 여성장애인의 비율이 늘어나고 있음.
- 이는 여성 인구의 고령화로 노년기 여성장애인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됨
- 결혼에 미치는 영향 때문에 장애 등록을 하지 않은 여성장애인이 장애 등록을 하면서 등록된 여성장애인의 수가 많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됨
- 이전의 장애범주가 지체장애, 뇌병변 장애, 시각장애, 청각장애, 언어장애, 지적장애, 정신장애, 자폐성 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로 10종류였던 것에 비하여 호흡기 장애, 안면장애, 간장애, 장루장애, 요루장애, 간질장애가 더 추가 확대되면서 장애 인
구가 확대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됨
(2) 장애유형별 여성장애인
• 여성장애인의 장애유형별로 보면, 신체적 장애 중 지체장애인(555,084명, 50.3%)으로 가장 많고, 다음으로 청각장애인(122,499명, 11.1%), 뇌병변 장애인(114,927명, 11.1%), 시각장애인(108,363명, 9.8%) 순으로 나타남
'장애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애인 가족에 대한 이해 (0) | 2022.07.28 |
---|---|
여성장애인 지원정책 (0) | 2022.07.27 |
장애아동 및 가족을 위한 향후 방향 (0) | 2022.07.24 |
장애인활동지원제도 (0) | 2022.07.23 |
의료지원(발달재활서비스, 언어발달지원) (0) | 2022.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