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식향상
본문 바로가기
여성복지

의식향상

by 미소대장 2024. 2. 20.
반응형

• 의식향상(consciousness raising)은 자신의 삶을 조성하는 사회문화적 현실과 그 현실을 변형하는 자신의 능력을 깊게 의식하는 과정
• 의식향상을 위해 사회복지사는 다음과 같은 질문들을 제기할 수 있음

 

                                                                               <성희롱을 당한 여성의 예>

• "나는 누구인가?"
- 성희롱을 당하고 수치스러움으로 고민하고 있는 여성이다. 나는 내가 당한 이런 문제에 대해서 어떻게 할 것인가? 개인적인 문제로 혼자서만 삭이고 말 것인가? 아니면 법적 조치를 취할 것인가? 문제를 공개하게 되면 남들이 나에게 도리어 비난을 퍼붓지 않을까? 내가 희생을 감수해서라도 이런 일이 지속되게 내버려 두어서는 안 될 것이다.

• "누가 말하는가?"
- 여성이 성희롱을 당한 것은 여자 잘못도 크다. 이런 문제를 그대로 두면 이런 일은 계속 될 것이니 누군가가 문제시해야 한다.

• "이 정의로부터 혜택을 받는 사람은 누구인가?"
- 문제를 제기하면 직장에서 불편해지고 피곤해질 것이다. 그러니 덮어 버리자. 내가 문제를 덮어 버린다면 누가 이익을 보는가? 남성들은 여성들에게 성희롱을 계속할 것이고 여성들은 계속 피해를 볼 것이다. 내가 이 문제를 제기하면 여성에 대한 남성들의 태도에 경각심을 불러일으킬 것이고 여성들은 이런 고민에서 벗어날 수 있을 것이다.

• "무엇이 변화되어야 하며, 어떻게 변화되어야 하는가?"
- 남성들의 여성에 대한 태도와 이중적 성문화가 변해야 하고 남녀에 대한 성차별이 사라져야 한다. 그럼으로써 남성이 성을 통해서 여성을 지배하고 통제하려는 태도가 없어져야 한다.

“나는 지금 무엇을 할 것인가?"
- 개인적인 수치심에서 벗어나서 문제를 제기해야 하며 그럼으로써 남성의 성폭력에 저항해야 한다.

 

반응형

여성들은 의식향상 집단을 통해 소속감과 연대감을 느끼고 오랫동안의 불공평함 혹은 분노를 표현함으로써 자기 비난에서 벗어나고 문제해결 전략들을 발전시키는 에너지를 활성화할 수 있음
의식향상 집단을 통해 여성들은 자신의 삶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정치적 요인들에 대해 이해할 뿐 아니라, 다른 여성들로부터 받는 지지를 가치 있게 평가하고, 역할모델, 격려, 기회, 인정을 통해 리더십 기술을 발전시킴으로써 권력감을 발전시킬 수 있음
사회복지사는 클라이언트의 의식향상을 위해 동반자의 입장에서 자문의 역할을 수행함
클라이언트의 의식향상을 위해 사회복지사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


(1) 비전을 명료화하도록 돕는다.
(2) 비전은 사회적·역사적·물질적 맥락에서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확인하거나 조성한다.

(3) 기술을 가르치거나 필요한 자원을 동원한다. 의식향상을 위해 필요한 기술은 문제해결기술, 자기주장, 생활기술(부모역할 고용, 자기 방어), 집단 의사소통 기술, 공식·비공식 자원을 확인하고 관여하기 위한 기술
(4) 우리 각자는 지역사회에서 현실을 창출할 수 있고 이에 대한 책임이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강화함

반응형

'여성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화적으로 유능한 실천 : 이주여성 사례  (0) 2024.02.23
자기주장훈련  (0) 2024.02.22
역량강화  (0) 2024.02.11
여성주의 사회복지실천의 개입과정  (0) 2024.02.08
여성주의적 실천의 원칙과 특성  (0) 2024.02.06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