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년기 발달 특성을 살펴보고 장년기의 일반적 위기와 침체 감의 위기, 사회체계의 과업수행 및 대인관계의 위기, 아버지로서의 위기에 대해 살펴봅시다.
1) 장년기의 일반적 위기
오늘날 한국 장년들은 다양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실제적으로 장년들을 위한 배려와 사회적 서비스가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장년은 서비스를 받을 대상이 아닌 것으로 여기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국 장년들은 각종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어려움 가운데 하나는 가족에서의 소외입니다. 그다음으로는 일 중심의 삶입니다. 이러한 스트레스를 술과 성 등으로 해결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것은 더욱 장년 스스로를 힘들게 만듭니다. 그래서 해결 방법으로 건전한 여가생활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2) 침체 감의 위기
생산성의 확립에 실패하면 침체 감에 빠져드는데 부모 역할이나 지도자 역할 등 전반적인 어른의 역할을 원만하게 수행하지 못하게 됩니다. 그래서 침체 감에 지지 않도록 생산적으로 참여하여 이를 수 있는 사회 환경이 마련되어야 합니다.
3) 사회체계의 과업수행 및 대인관계의 위기
건강가정의 요소가 유기적으로 연결되면 이러한 위기를 이겨낼 수 있습니다.
① 부부간에 책임과 권리를 공평하게 배분하고 합리적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는 의사소통이 필요합니다.
② 장년기의 직업생활은 자아정체감 형성, 가족의 생계유지, 사회적 관계 유지 등 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칩니다.
4) 아버지로서의 위기와 정신건강
• 아버지로서의 정체감을 상실
• 아버지의 가정에서의 존재적 의미와 가치에 대한 물음이 사회적으로 대두되었습니다.
• 아버지로서의 정체감을 바로 갖지 못할 때 인생의 위기를 장년기에 맞이할 수 있습니다.
'정신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년기 발달 특성과 정신건강 (0) | 2021.05.28 |
---|---|
노년기 발달 특성 이해 (0) | 2021.05.27 |
장년기 발달 특성 이해 (0) | 2021.05.26 |
청소년의 사회성 발달과 정신건강 (0) | 2021.05.25 |
청소년기 발달과 정신건강 (0) | 2021.05.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