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개념
• 보건복지부는 취약층 돌봄 체계를 '커뮤니티 케어(community care)'로 전환한다고 하면서, 커뮤니티 케어를 '돌봄을 필요로 하는 주민들이 자택이나 그룹홈 등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복지급여와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가며 자아실현과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혁신적인 사회서비스 체계'라고 하였음(보건복지부, 2018)
• 보건복지서비스 제도면에서 우리보다 한 발 앞선 국가들 (영국- 커뮤니티 케어법 제정, 미국 지역사회기반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제공하도록 조치, 일본- 예방 중심의 시스템과 재가급여 확대 등)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원래 살던 집에서 살도록 지원하는 정책이 강조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서비스 이용자들이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하는 기회를 확대하고, 지역사회가 취약한 사람들과 함께 하도록 촉진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함께 이루어지고 있음
- 이런 흐름들을 포괄하여 커뮤니티 케어라 칭하고 있으며, 보건복지서비스가 지향하는 목적, 서비스를 전달하는 구조와 방법, 서비스를 구성하는 내용, 이용자와 제공자를 포함하는 사람들과의 관계, 높아지는 재정 압박에 대응하는 지속가능성
등의 이슈를 포괄하는 함축적 의미를 가지고 있음
- 이처럼 커뮤니티 케어는 1970년대 이후부터 일관되게 추진되어온 보건복지서비스의 혁신을 위한 누적적인 지식과 경험을 기반으로 서구사회에 공유되어 있는 포괄적인 의미를 가진 슬로건이라 할 수 있음
② 의미
• 우리말로 지역사회라고 번역되는 커뮤니티라는 단어는 서구사회 보건복지서비스의 단계별 혁신 과정에서 세 가지 의미를 가지게 되었음
- 첫 번째는 분리된 대형시설에서 살던 사람들이 보통사람들이 사는 동네로 장소를 옮겨서 살아야 한다는 '공간으로서의 지역사회(in community)'의 의미임
- 두 번째는 시설에서 지역사회로 옮겨온 사람들이 지역사회 공간에서 잘 지내도록 돕는 보건복지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의 책임을 중앙정부에서 지방정부로 이전하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판단에 의해 추진된 지방정부로의 권한 이양 (decentralization)의 의미임
- 세 번째는 분리된 시설에 살던 사람이 사회통합이라는 목표로 지방정부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면서 지역사회 공간으로 이주해서 살게 되었지만 정부가 책임지고 제공하는 서비스만으로는 진정한 통합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사실을 확인
하면서 지역사회의 관여가 없는 '고립된 자립'이 아니라 자연적인 지원(natural support)과 함께하는 '상호 의존하는 자립'이 강조되면서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강조하는 지역사회 (by the community)'의 의미임
• 우리말로 돌봄, 수발 등으로 번역되는 케어라는 단어는 서구사회에서 포괄적인 맥락에서 사용되기도 하고, 특정적 의미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특정적인 의미로는 크게 세 가지 뜻을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음
- 첫 번째는 가장 흔히 사용되는 의미로서 일상적인 활동을 돕는 돌봄 또는 수발을 지칭하는 의미임
- 두 번째는 의료적 측면을 중심으로 치료, 간호 등의 활동을 지칭하는 의미임
- 세 번째는 관심, 지원, 지지 등을 위한 사회복지서비스 활동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함
③ 흐름
• 서구 국가들은 다소 시기의 차이는 있지만, 197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서 탈시설과 정상화 운동을 통해서 대형 수용 병동 또는 대형시설은 거의 사라졌고 '공간으로서의 지역사회'를 거의 마무리한 단계에 있으며, 대형시설에 살던 사람들은 자신의 주거공간이나 케어홈 (care home), 너싱홈 (nursing home) 등의 소규모 거주서비스 장소에서 살고 있음.
- 지역사회 중심으로 서비스를 재편하는 과정을 진행하면서 신청을 받아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의 책임은 지방정부로 이전되었음
- 서구사회에서는 공간으로서의 지역사회와 지방정부로의 권한 이양은 정착된 단계에 있다고 할 수 있음
- 2000년대 이후 서구 국가들에서는 주체로서의 지역사회, 우호적인 지역사회, 지역사회의 참여 등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임
• 우리나라는 2016년 12월 기준으로 요양병원, 생활시설, 정신의료시설에서 생활하는 사람의 수가 총 74만 명에 이르며(김형용, 2018), 거주시설 가운데 100인 이상을 정원으로 운영되는 시설이 349개소나 되며, 이곳에서 생활하는 사람은 총 4만 8천여 명임(김용득, 2018)
- 우리는 공간으로서의 지역사회 과업에서부터 시작해야 하는 상황임
- 지방정부가 서비스를 신청받고, 욕구를 평가하고, 적절한 제공기관으로 연결하는 '지방정부 주도의 서비스 공급 체계 개편과 공공 전달 체계 강화'도 같이 해야 하는 상황임
- 다른 한편으로 지역기반 사회적 경제 활성화, 마을 만들기, 도시재생 뉴딜 등의 다양한 주체의 참여를 강조하는 지역사회 과업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단계임
- 우리나라는 서구와는 달리 탈시설, 지역사회서비스 강화, 전달 체계 개편, 지역사회 참여 촉진 등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하는 특별한 상황임
- 보건복지부는 이런 상황에서 복합적인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커뮤니티 케어라는 함축적인 용어로 정책과제를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음
'장애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커뮤니티 케어의 지향점 (1) | 2022.10.04 |
---|---|
커뮤니티 케어 (0) | 2022.10.02 |
장애등급제 폐지 내용 (1) | 2022.09.30 |
장애등급제 폐지와 원칙 (1) | 2022.09.29 |
인권 기반의 사회복지 실천 점검 (0) | 2022.09.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