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성 혁명에 의한 성 해방은 소비사회의 발달과 연관성을 가짐
• 소비사회는 절제와 검약의 자본주의 정신을 '소비의 미덕'으로 대치시키면서 쾌락주의를 장려
• 소비사회에서 성은 하나의 상품으로써 모든 계층의 일상생활에 침투하게 되고 인간의 성생활은 이러한 상품적 성격의 지배를 받음
<성 상품화가 인간에게 주는 영향>
① 인간적인 자질을 상실시키고 객체화함으로써 성욕을 자극하는 메커니즘에 의해 성 적 대상의 물신성을 강조하게 됨 • 광고 : 인간의 감수성, 인간관계, 특히 에로티시즘이 상품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 같은 착각을 갖게 함으로써 물신주의적 인간성을 주입 • 성의 물신화 : 여성의 성적 대상화와 직결되어 여성을 남성 성욕의 대상으로 취급해 온 가부장제 전통이 성의 상품화 현상에 의해 더욱 심화하게 됨 ② 성욕을 인위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성의 소외현상을 야기함 • 소비 전략에 의해 성은 생산체계가 소비욕구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내는 소재와 매개물로 이용되어 인간의 무의식 세계를 조작하고 성적 환상을 심어줌으로써 새로운 성적 자극과 성의 소비를 충동하는 상업주의 속에 새로운 갈망에 쫓기 고 상대적인 죄과 위화함을 누적시킴 - 예 : 섹스 쇼, 섹스 숍, 마사지나 사우나 영업, 포르노 영화, 음란비디오, 성 잡지 등 • 마르쿠제 : 성 해방은 상업적인 이해관계와 대중매체의 조작에 의한 것이며, 모든 사회가 성애화되는 상황은 성적 긴장 및 강박관념, 성에 대한 맹목적인 숭배를 조장하기 때문에 진정한 성 해방은 불가능함 ③ 성 상품화와 직결된 성 해방은 성적 민주주의의 허위의식을 심어준다. • 성 해방은 마치 누구나 일상생활 속에서 성의 자유와 쾌락을 즐길 수 있는 가 능성이 있고, 또 대중의 성 생활이 동질화되어 가는 것 같은 환상을 주지만, 실제로 성생활에서 계급과 인종과 성병 간의 차이와 상이성이 적지 않음 • 성은 부, 위신, 권력, 생활스타일 등과 결합하여 기존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강 화하는 측면을 내포함 • 마르쿠제 : 억압적 탈승화(repressive desublimation)는 성의 억압과 착취를 존 속시키는 담보물이며, 성의 자유라는 형식을 빌려 인간을 또 다른 억압상태에 묶어 두는 것뿐 아니라, 리비도적 에너지에 대한 사회통제를 강화시키는 것임 을 강조 |
• 성 해방은 사회정치의식과 계급 간의 위화감 및 갈등을 성적 쾌락으로 둔화시킴으로써 체제 내적인 순응주의와 합의를 조작하는 사회통제의 기제로 이용됨
• 계급적인 연대감이나 정치참여의 의지 대신에 극히 개인주의적인 이해관계와 쾌락주 의에 몰입하는 성향을 조장함
• 지배계급의 입장에서는 대중의 불만과 비판의식을 약화시키거나 심지어는 우민화시키기 위해 성적 상징의 조작을 이용하는 경향을 나타냄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