몸에 대한 신화
본문 바로가기
여성복지

몸에 대한 신화

by 미소대장 2023. 4. 18.
반응형

1) 상대적 가치절하 
• "남성=합리성=이성'과 '여성-감성-몸'으로 이분화되며 위계화되었다가 탈근대 이후 차이를 중시하면서 몸에 대해 새롭게 관심을 가지게 됨 
• 생물학적으로 다른 여성의 몸과 남성의 봄은 센터, 계층, 인종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에 의해 의미화되고 시대에 따라 다르게 구성됨  
• 자본주의 사회에서 몸은 자본이자 권력으로 작동되며, 계층에 따라 위계화가 이루어짐 
• 예전에는 살핀 것이 부의 상징이었다면, 최근 뚱뚱한은 더 이상 부의 상징이 아니다. 
• 남성과 여성의 몸에 대한 담론 또한 성화되어 구성되어 같은 싱 사이에서도 위계화되어 있음 
• 다산하기 좋은 공민한 여성의 몸이 미화되었던 시절이 있었는가 하면, 요즘은 지구적인 S라인이 미의 기준이 됨 
• 여성의 몸에 대한 담론의 변화는 여성나운 돈에 대한 신화를 만들어 왔으며, 다이어트 니 성형 열풍과 함께 시대에 따라 변화해 옴  
• 여성의 이상적인 몸, 완벽한 몸은 그렇지 않은 몸과 끊임없이 구별되면서 예쁜 몸 은 '착한 몸, 착한 여성'으로 여겨짐 
• 반면 예쁘지 않은 몸은 '몹쓸 몸'이 되며, 개그 소재로 회화화 되거나 능력 없고 게으른 여성으로 간주됨

• '개그 콘서트' 코너의 대부분이 외모 비하 관련 소재를 포함
 

2) 몸의 신화에 대한 변화 
 

• 예전에는 외모 꾸미기와 몸만들기가 주로 여성들의 전유물이었다면 최근에는 남성들 역시 근육질 남성의 상징인 '초콜릿 복근'과 같은 몸의 신화에서 자유롭지 못함 
• 예전에는 불필요한 여성 몸에 대한 노출이 이수였지만, 현재 한국사회에서 남성의 불필 요한 '복근 노출'은 방송 도중 대중들에 대한 서비스 차원에서 예지치 않게 나타나고, 대중들은 그런 노출에 익숙함  
• 2014년 개그프로그램에서 사랑받지 못한 4명의 남자 - 뚱뚱한 남자, 키 작은 남자, 촌스러운 남자, 유머감각 없는 남자가 출연한 코너가 인기리에 방영됨 
• 2015년 개그프로그램에는 마른 남자와 뚱뚱한 남자가 몸만들기 프로젝트에 도전하는 코너가 있음 
• 다양한 몸을 용납하지 않는 사회에서 키 작고 뚱뚱한 사람들은 '루저'라고 불림 
• 우리 사회는 주변에서 보기 힘든 몸들을 완벽한 몸으로 여기며 '몸의 신화'를 만들어가는 데 주력함 

 

반응형


3) 노동시장에서의 몸의 신화 
• 완벽한 몸에 대한 신화는 노동시장의 채용과정에서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은 지 오래 고, 이상적인 몸을 만들기 위한 성형은 누구나 한 번쯤 해볼 수 있는 자연스러운 일이 되어 감 

• 자기 계발성에 외모 관리는 단골 메뉴로 등장하고 있고 '매력자본'이라는 용어에서 알 수 있듯이 '성' 또는 '성적 매력'이 계발해야 하는 영역으로 등장하고 있음 
• 캐서린 하킴(2013) : 매력 자본(erotic capital)은 "아름다운 용모와 성적 매력, 자기표현 기술과 사회적 기술이 합쳐진 애매하지만 정말 중요한 자본"이라고 정의함 
• 실제 취업 준비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10명 중 3명이 취업을 위해 성형 수술을 고려하고 있다고 함(조선일보, 2015. 1.22) 

 

4) 법적 근거 
• 외모차별을 위한 법적인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옴 
•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사업주는 여성 근로자를 모집 채용을 할 때 그 직무의 수행에 필요하지 아니한 용모·키·체중 등의 신체적 조건"을 제시 요구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음 
• 법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채용과정에서 공공연하게 '관상 면접'이 있어 '관상 성형'또한 이루어지고 있는 현실을 볼 때 외모차별은 다양한 방식으로 강화됨 

 

5) 상업화 
• 한국사회에서 "몸이 스펙이다" 또는 "피부가 스펙이다"와 같은 광고를 쉽게 접할 수 있는 것처럼 성형 수술은 의료 상업화와 맞물려 더욱 확산되고 있음 
• 우리 사회는 아름다운 몸에 대한 단일한 기준과 공식을 가지고 있는 듯하며, 대중들은 끊임없이 세뇌당하고 있음 
• 여성 몸에 대한 의료 상업화는 성형수술이나 다이어트를 위한 것뿐만 아니라 여성의 일반적인 건강·출산 등과 같은 많은 영역에 무분별하게 필요 이상으로 확산되고 있음 

 

6) 젠더 수행성 
• 이상적인 몸에 대한 신화는 노동시장 채용이나 연애 과정에서 강화되고, 여성과 남성의 몸의 변화에 대한 가치 평가를 통해서도 구성됨 
• Steinem(1995) : 남자가 월경을 한다면이라는 책에서 "남자가 월경을 하면 부러움의 대상이 되고 자랑거리가 될 것이다"라고 지적한 것처럼 여성과 남성의 몸, 몸에서 일어나 는 변화에도 성별에 따라 다르게 가치를 매기게 되는 성별 권력이 작동함 
• 여성과 남성의 몸, 몸을 둘러싼 성별화 된 사회화, 즉 젠더 수행성을 통해 구성됨 

반응형

'여성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일한 윤리법안과 섹슈얼리티  (0) 2023.04.24
성 위계와 성적 편견과 오해  (0) 2023.04.21
성의 상품화  (0) 2023.04.17
자본주의제도  (0) 2023.03.30
가부장제도  (0) 2023.03.15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