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성 위계
• 강력한 성담론 중의 하나가 '정상적인 성'과 '비정상적인 성'에 대한 믿음임
• 성에 대한 가치 판단은 결혼 안과 밖, 나이, 성적 정체성에 의해 좋고 나쁨의 경계가 분 명하고 그 경계에는 가장 올바른 것과 가장 올바르지 않음에 대한 이분법적인 기준이 있음
• 정상적인 것과 비정상적인 성담론은 그 안에서 낙인과 편견의 정도에 따라 위계화되어 있음
• 가장 '좋은' 섹스는 결혼 안에서 이루 어지는 것으로 재생산을 목적으로 집에서 이루 어지는 이성애 관계인데 이는 정상적이며 건강한 성으로 불리어짐
• 좋은 섹스는 미혼 이성애 커플, 나쁜 섹스는 성적으로 문란한 이성애, 사위, 지속적인 동성애 커플
• 가장 '나쁜' 섹스는 복장도착자, 트랜스섹슈얼, 물신숭배자, 가학피학성 성애, 돈거래를 통한 관계, 세대 간의 성애로 비정상적이고 비자연적이고 병적인 것으로 분류됨
• 성은 연령, 성별, 인종, 성적 선호 눔 다양한 형태로 위계화되어 있음.
• 겉으로 드러난 결과에 대한 평가는 위계회를 낳고 그런 위계화는 정성과 일탈, 승인과 낙인, 허용과 제약을 양산할 뿐임
2) 성적 편견과 오해
• 한국사회에서도 성별, 결혼 여부, 나이, 성적 선호나 정체성 등에 따른 성적 편견과 오 해가 편재해 있음
• 오랜 세월 동안 여성 = 성적 수동성'과 '남성=성적 능동성'이라는 이분법적인 구도가 여성의 성적 태도와 실천행위를 암묵적으로 규제해 옴
• 문화적 규정에 의한 금기는 시대를 거치면서 의무로 동화되거나 길들여지거나 또는 흡수되어 옴
• 여성성의 가장 고귀함으로 상징되어 온 순결 이데올로기는 사람들로 하여금 처녀막 신 화와 함께 '이성애 성관계 / 성행위'의 유무에 집착하게 하는 기제로 작동됨
• 기존 성담론에 대해 여성주의자들은 일상생활에서의 성, 성적 욕망, 성적 담론 및 재현 이 성별화된 방식으로 형성되어 왔다고 지적함
• 섹슈얼리티에 관한 초기 연구에서 여성주의자들은 여성의 성적인 표현이나 욕망 그리고 선택을 방해해 온 것으로서 사회적 규범과 순결 이데올로기를 지적하였고, 그런 기체들 이 여성의 의식에 어떻게 내면화되어 여성의 성적 주체성 형성을 방해해 왔는가를 보여
• 여성주의자들은 남성의 성적 적극성과 성적 능력은 고무되고 남성성의 상징으로 칭찬되 는 반면 여성의 성적 표현과 솔직함은 여성답지 못하고 남자를 유혹하는 나쁜 여성으로 간주되는 이중적 성규범을 비판함
• 성규범으로 인해 많은 여성들은 자신의 성적 욕망과 바람에 귀 기울이기보다 성적으로 올바른 여성'의 기준과 규율을 먼저 살피게 되는 점을 지적함
'여성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콤플렉스란 무엇인가? (0) | 2023.04.25 |
---|---|
단일한 윤리법안과 섹슈얼리티 (0) | 2023.04.24 |
몸에 대한 신화 (1) | 2023.04.18 |
성의 상품화 (0) | 2023.04.17 |
자본주의제도 (0) | 2023.03.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