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여성의 콤플렉스 : 변화된 것과 지속되는 것
• 1990년대에 들어서 한국여성의 심리적 특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함
• 젠더 이분법이 강요되는 사회에서 여성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억압된 심리가 생길 수밖에 없으며, 특히 착한 여자가 되기 위해 자신의 욕망을 참고 견디는 여성의 경험이 '현모양처론'의 대항적 담론으로 형성됨
• 한국 여성의 '화병'이나 '착한 여자 콤플렉스'가 사회적 이슈로 논의됨
• 여성의 억압심리와 열등감을 개인의 책임이나 불운이 아닌 착한 여자-신데렐라 슈퍼우먼·성·외모·맏딸·지적 콤플렉스로 이름 붙이고 설명해 내는 기획은 가부장제 문화 속에서 살아온 많은 여성의 공감을 얻었고 서로를 격려하는 힘이 됨
• 오늘날 여성의 억압심리와 열등감을 설명하는 최근 한국사회에서의 여성이 과보상 되었고 오히려 남성이 역차별을 당한다는 주장이나, 여성혐오주의가 사회 전반적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실정임
• 이에 여성혐오의 시대를 살아가는 여성의 심리적 특성을 분석할 필요성이 대두하였고, 또한 양성평등이 실현되었고, 여성에게 과보상이 되었다는 주장에 대한 비판적인 사유가 요청된
2) 여성 콤플렉스란 무엇인가?
(1) 여성 콤플렉스의 개념
• 콤플렉스는 현실적인 행동이니 정동 (affect)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원상 (image) 및 생각의 집합으로 정의되고 콤플렉스는 무의식에 자리 잡고 있으며, 개인이 의식하든 의식하지 않는 행동과 정동에 영향을 미침
• 기부장제 사회에서는 여성과 남성에게 기대되는 역할, 성격, 외모로 구성되는 여성성과 남성성이 존재하고, 이러한 기대에 부응하는 행동과 성격이 요구됨
• 남녀의 이분법적 특성에 따라 그에 맞지 않는 행동이나 성격은 제한되거나 억압되는데 여성성/남성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생겨난 남녀의 억압심리를 여성 콤플렉스/남성 콤플렉스로 정의함
(2) 착한 여자 콤플렉스
• 윌리엄 페즐러와 엘레노어 필드는 '착한 여자'로 키워진 여성이 열등감과 의존심, 무기력 등으로 분노가 쌓이는 데서 생기는 병적 증상을 '착한 여자 콤플렉스'로 정의함
• 지금의 한국사회에서 착한 여자는 이상적인 여성상이 아니지만, 결혼과 사회생활에서 착한 여자가 차지할 수 있는 유리한 위치를 점하기 위해 착한 여자라는 여성성을 전략적으로 사용할 필요성이 있음.
• 착한 여자를 당위로 받아들이고 억압심리를 느끼던 전 세대와 달리 착한 여자를 당위로 받아들이지 않지만,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여성은 자신의 욕망을 숨기고 정략적으로 착한 여자를 수행하는 현실적 모습을 보임
(3) 신데렐라 콤플렉스
• 1981년 미국의 페미니스트 콜레트 다울링은 신데렐라 콤플렉스를 억압된 태도와 불안이 뒤얽혀 창의성과 의욕을 마음껏 발휘하지 못하고, 일종을 미개발 상태에 묶인 여성의 심리라고 정의함
• 심리학적으로는 자기 자신의 능력이나 힘으로는 자립할 능력이 없는 여성이 막연히 남성에게 보호되어 살아가고 싶다는 심리적 의존상태를 가리킴
• 최근 신데렐라 서사(문학)는 여성이 이룬 낭만적 사랑도 자신의 노력과 성장의 결과로 재현되며, 의존적이고 순결한 여성이 복을 받는 전형적인 서사를 벗어나고 있음 ('줌마렐라' 서사로 확장됨)
• 결혼이 당위가 아니라 선택으로 바뀌었지만, 결혼이 안정된 삶이나 사회적 체계 안에서 살아가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가치는 더욱 강화됨
(4) 외모 콤플렉스
• 외모 콤플렉스는 이제 남녀 모두의 문제로 남성의 외모 가꾸기 열풍과 시장이 커지고는 있지만, 여전히 여성의 몸과 외모의 가치가 점점 더 커지고 있음
• 외모는 기술과 결합하여 무한 수정이 가능해지면서 개인의 노력 여부가 드러나는 스펙으로 평가됨
• 외모를 여성성의 요소로 무조건 받아들이던 과거 세대와는 달리 현세대는 취업, 결혼, 자기 계발 등 삶의 전략으로 여기는 경향을 보임
• 과거 세대가 외모 가꾸기를 여성의 굴레로 여기고 비판하거나 외모 가꾸기를 하면서도 갈등하는 세대였다면, 현세대는 외모 가꾸기 역시 스펙의 한 부분으로 여기고 매력 자본을 늘리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는 세대임
• 매력 자본의 개념은 여성의 외모나 태도가 경제 자본(자산)이나 문화 자본(교육), 사회 자본(인맥)만큼의 이익을 창출한다고 분석함
• 외모에 대한 적극적 추구는 자기 계발론과 여성성의 귀환이라는 이념적 기반을 통해 소비자본주의의 외모지상주의를 받아들이고 실천하면서 이 과정에서 우리가 감수해야 하는 몸의 위험성이 증대됨
3) 콤플렉스의 변화, 세대 간 차이와 소통가능성
• 한국사회에서 개인은 여전히 여성성/남성성의 이분법적 가치를 수행하고 있으며, 젠더가 분법에 따른 콤플렉스를 느끼고 있지만 여성의 억압이나 가부장적 사회에 대한 비판은 약화됨
• 한국사회에서 젠더 문제는 젠더의 억압이나 사회적 강요의 문제가 아니라 개인의 선택으로 이해됨
• 여성 개인 역시도 자신의 문제가 센더 정치학의 문제와 하다고 생각하며, 신자유주의적 선택론은 젠더 문제를 함께 고민하고 해결하는 것에 어려움으로 존재함
• 서로 다른 세대의 여성이 겪고 있는 불안과 심리적인 문제가 다르며, 여성 세대 간 소통이 점차 어려워짐
• 단일한 '여성'이라는 호명을 하기보다는 여성 콤플렉스를 통해 개개인이 경험하고 있는 젠더 억압에 대한 차이와 같음을 찾는 과정에서 세대 간 소통 가능성을 찾을 수 있음
'여성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과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여러 가지 의미 (0) | 2023.04.30 |
---|---|
한국사회 사회복지실천현장 (0) | 2023.04.28 |
단일한 윤리법안과 섹슈얼리티 (0) | 2023.04.24 |
성 위계와 성적 편견과 오해 (0) | 2023.04.21 |
몸에 대한 신화 (1) | 2023.04.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