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장애인을 포함하는 가정은 그렇지 않은 가정에 비해 가족 사이의 불화와 같은 역기능적인 상호작용을 초래할 위험이 높기 때문에 심리·정서적 지원이 필요함
- 또한, 인권을 보호받고 사회적 지원을 받아야 할 장애인복지의 주체로서 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는 포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함
- 특히, 가족지원 프로그램은 장애인 가족을 단지 문제와 결핍을 지닌 대상이 아니라, 장애에서 비롯되는 가정 내 다양한 문제와 그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계획되어야 함
(1) 가족에 대한 지원은 공동체 의식을 증진하는 방식으로 제공되어야 함
공통의 욕구나 관심, 같은 종류의 장애가 있는 가족모임은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하며, 서로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지지해 줄 수 있어야 함
예) 가족 자조집단, 부모 자조집단, 형제자매 자조집단, 어머니 아버지 자조집단 등
(2) 지원에 기초한 접근이 가능해야 함
자원동원과 관련하여 가족이 이미 갖고 있는 비공식적 자원과 자구적 지원체계 등을 먼저 확인함으로써 서비스에 기초한 접근보다는 자원에 기초한 접근이 가능해야 함
예) 가까운 친구, 이웃, 직장의 비공식적 인적 자원 활용
(3) 가족과 전문가가 서로 존중하고 협력해야 함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목적은 가족의 능력 고취에 있으며, 가족의 기능 강화를 위해 가족과 전문가가 서로 존중하고 협력하며, 책임을 공유할 수 있는 상호 호혜적인 여건이 만들어져야 함
예) 치료, 교육 등이 진행되는 과정에 가족의 참여(부모교육, 형제자매, 아빠 참여수업 등)를 유도하는 파트너십 여건 조성
(4) 가족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해야 함
서비스와 관련하여 가족 구성원의 의사가 적극적으로 반영되고, 가족 전체의 통합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가족 스스로가 문제를 해결하도록 지원해야 함
예) 자기 결정, 참여, 권리 행사 등의 능동적 여건 마련
(5) 가족의 결점이 아닌 강점을 찾아가는 것이 중요함
가족기능의 강화에 초점을 두고, 가족의 결점보다는 강점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함
- 즉, 가족의 생활방식을 전체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이 아닌, 기존의 생활방식을 존중하고 의사결정에 대한 가족의 통제권을 최대화하는 방식을 접근해야 함
예) 강점 중심의 접근, 임파워먼트 접근 등
(6) 가족 전체의 통합성을 유지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함
가족 구성원이 서로 건강하고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가족 전체의 통합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하며, 이 과정에서 가족 구성원의 욕구와 불만에 대해 필히 고려해야 함
예) 가족캠프
(7) 촉진적 접근에 중점을 두어야 함
장애인 가족지원 서비스의 제공자는 서비스 이용자 또는 참여자로서의 가족 구성원의 욕구를 중심으로 치료적 접근이 아닌 촉진적 접근, 의욕을 촉진시키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함
- 그럼으로써 가족은 자신의 욕구 민족과 다른 가족 구성원과의 통합성에 적극적일 수 있음(김용득, 유동철, 2001)
예) 가족 응집력 프로그램
'장애인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조공학의 개념과 유형 (0) | 2022.08.02 |
---|---|
장애영유아 조기교육과 방과 후 교육 및 지도 (0) | 2022.08.01 |
장애와 관련한 가족의 반응 (0) | 2022.07.29 |
장애인 가족에 대한 이해 (0) | 2022.07.28 |
여성장애인 지원정책 (0) | 2022.07.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