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국민건강보험제도는 질병, 부상, 분만, 사망 등 의료상의 문제를 사회적으로 보장하기 위한 사회보험제도로서,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강제 적용의 의료보험제도가 시작됨
• 1989년부터 전 국민 의료보험을 실행하였으며 1998년부터는 통합주의 방식의 의료보험이 출범함으로써 전 국민이 국민건강보험공단이라는 단일보험자에 의해 보험을 적용받게 됨
• 가입자의 성별 구성을 보면, 직장가입자의 경우 남성의 경우 남성비율이 73.7%, 여성이 26.3%으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여성은 보험료를 납부하는 가입자보다 피부양자 지위에 더 많이 분포하고 있음
• 건강보험급여실적을 통해 건강보험 보장상의 성별 차이를 살펴볼 수 있는데, 건강보험급여 실적에서 내원일 수와 진료비는 여성이 더 높지만 내원 1일당 진료비는 남성이 더 높음
• 이것은 여성이 남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만성질환 유병률이 높고 이러한 만성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병의원을 자주 찾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남
• 남성의 경우 평균적인 의료이용 횟수의 측면에서는 여성에 비해 이용을 적게 하지만, 1일 내원 기준으로 보면, 여성에 비해 더 많은 비용을 쓴다는 것을 알 수 있음
반응형
'여성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과 고용보험 (0) | 2024.04.07 |
---|---|
여성과 산재보험 (0) | 2024.04.06 |
중복급여 조정과 분할연금 (1) | 2024.03.21 |
여성과 연금보험 (0) | 2024.03.17 |
성평등적 복지국가 - 복지국가는 여성의 삶을 개선할 수 있는가? (0) | 2024.03.15 |
댓글